Search
Duplicate
🏃

국어 3년 연속, 6학기 연속 1등급 6관왕 달성한 종현T 제자의 벼락치기 종결법

김종현쌤의 수능국어 공부법 마라톤 – 24구간

내신 국어 역전의 핵심 무기, 단권화 & 복기

안녕하세요. 저는 김종현T국어와 조현T국어의 제자이자 조교에요!
jh 국어 연구소에서 국어 내신을 공부하며 선생님들께서 깨닫게 도와주신
3년 내내 1등급을 놓친 적 없는 제 국어 내신 비법,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국어 내신 4등급이었던 실제 제 고등학교 친구에게 알려주었더니 2주 만에 무려 2등급까지 오른 비법이에요!
무엇보다 진짜 중요한 건,
문제만 많이 푼 게 아니라 ‘단권화’랑 ‘복기’에 비중을 더 많이 뒀다는 거예요.
저는 모든 지문을 처음부터 끝까지 회독한 다음,
학교 필기, 학원 개념, 자습서 설명을 하나로 합쳐서
지문 위에 직접 복기하면서 적었어요.
그냥 정리만 한 게 아니라,
외우면서 쓰고 가리면서 생각해보는 복기 루틴이었어요.
이 루틴은 문학 표현기법이 선지에서 지엽적으로 바뀌는 걸 대비할 수 있어서,
실전에서 정말 유용한 방법이에요!
지금부터 제가 했던 그대로
10일 안에 끝내는 국어 내신 루틴 알려드릴게요.
뒤에 ‘국어 내신에서 자주 나오는 표현기법+ 내신 핵심 포인트’도 정리해뒀으니 공부할 때 참고하세요!

D-10! 얼마 남지 않은 국어 내신 대비 이렇게 해보자!

10일 완성 국어 내신 루틴 – 고밀도 단권화 집중형

단권화는 3일 만에 몰아서 완성
회독 → 복기형 단권화 → 집중 복습 루프
상위권·하위권 누구든 가능한 고효율 구조

루틴 기본 철학

요소
핵심 원칙
회독
단권화 전 반드시 1회 이상 읽기
단권화
복기하며 쓰기! 그냥 베끼는 게 아님
반복 복습
순서 섞고, 말하고, 써보고, 가리고 외우는 방식
약점 보완지
마지막엔 내가 틀리는 포인트 위주로 A4용지 한 장 분량의 약점 보완지 제작&반복 학습

10일 학습 계획표

Day
목표
세부 활동
Day 1
지문 회독 + 구조 파악
- 시험범위 지문 전체 회독 1회(학교 필기, 학원 필기, 자습서) - 구조 표시(화자/정서/전환점/표현기법 체크만 가볍게)- 단권화 대상 우선순위 체크
Day 2
단권화 1차 (지문 절반)
- 지문 4~5개 복기하며 단권화- 말로 먼저 설명 → 기억나는 개념 지문에 써넣기- 학교·학원·자습서 개념 통합 표시 (3색 필기)
Day 3
단권화 2차 (나머지 전부)
- 나머지 지문 단권화 마무리- 하루 최소 4지문 이상 복기하며 쓰기- 표현기법은 모두 표시하고 유의어 함께 정리
Day 4
단권화 전체 회독 1회차
- 지문 순서 바꿔 회독- 정서/표현/주제 말로 요약 연습- “이 문장 뭐였더라?” 자문자답 복기 시작
Day 5
단권화 복기 2회차 + 가림 복습
- 단권화 지문 가리고 말하기 연습- 틀리거나 막히는 부분 표시
Day 6
개념 기반 문제풀이 + 연결
- 자습서 or 학원 기본문제 - 틀린 문제의 개념을 다시 지문 옆에 써넣기- 선지에서 쓰인 표현기법 변형어 대응 학습
Day 7
단권화 복기 3회차 + 약점 정리 시작
- 잘 안 외워지는 지문 위주 1회 더 복기- 헷갈리는 표현기법 정리 시작 (예: 역설 vs 반어 vs 반문 등)
Day 8
실전문제 풀기 + 약점 반영
- 실전문제 or 학교 기출 문제 - 선지 분석 + 단권화 연결- 약점보완지 1장에 틀린 개념 따로 정리
Day 9
약점노트 회독 + 단권화 전체 복습
- 약점보완지 3회 이상 회독- 단권화 지문 1~2회 빠르게 훑기- 잘 외워진 지문은 제외, 시간 효율 관리
Day 10
최종 점검 + 시험장 모드
- 단권화 & 약점보완지 둘만 가지고 복기- 말하기+쓰기+요약하기 연습- 자신 있는 지문은 설명식 복습, 불안한 지문은 암기 복습

실전용 단권화 방식: "지문 위에서 개념을 통합 복기하는 법"

준비물

시험 범위 지문 원문 출력본 (또는 자습서 지문 복사본)
3색 펜 (학교/학원/자습서 필기 구분용)
형광펜 또는 포스트잇 (핵심 개념 강조용)

Step-by-step 단권화 실전 절차

① [지문 출력 or 노트 정리]

시험 범위의 시/소설/설명문 원문을 크게 출력하거나, A4 노트에 옮겨 적음

② [3종 필기 정리 규칙 – 색상 구분]

색상
정보 출처
표시 위치 예시
파란색
학교 수업 필기
교과서에서 선생님이 강조한 의미, 표현 기법
초록색
학원 개념 필기
지문과 연결된 개념어, 시험 포인트
빨간색
자습서 설명 필기
지문 분석, 작가 의도, 문제 접근법

③ [본문 위에 직접 표기하기]

문장 위, 아래, 옆 빈 공간에 해당 개념을 연결하며 씀
단순히 옮겨 쓰지 말고 외우면서 복기 → 써넣기

예시 (시 지문)

“햇빛은 뜨거웠고, 바람은 불지 않았다. 나는 천천히 걸었다.” 🔵 (학교) 햇빛: 외부 세계의 현실 / 바람 없음: 정체감 표현 🟢 (학원) ‘천천히 걸었다’ → 정서: 체념/수용 → 태도: 내면적 성찰 🔴 (자습서) 전체 구절의 시어들 = 감각적 표현 + 시각/촉각 이미지
Plain Text
복사

예시 (소설 지문)

"그는 결국 아무 말 없이 방을 나갔다. 아버지는 고개를 떨구었다.” 🔵 (학교) ‘아무 말 없이’ = 갈등 회피 🟢 (학원) 서술 방식: 대화 X → 행동 묘사로 감정 전달 🔴 (자습서) 가족 갈등 → 화해로의 복선, 인물 변화 포인트
Plain Text
복사

④ [형광펜 or 밑줄로 개념 강조]

주제, 정서, 표현기법 등 시험에 나올 포인트에는 색 강조
가장 헷갈리는 개념은 포스트잇에 따로 적고 덧붙이기

⑤ [마무리 복기]

지문 가려두고 → 개념 복기 → 다시 써보기
이 과정을 5~10지문 반복하면 단권화 마스터본 완성

단권화 마스터 키워드 요약

구성 요소
역할
원문 출력
기반 뼈대
3색 필기
출처별 개념 시각화
복기 쓰기
암기 + 자기화 과정
반복 회독
시험장에서 재생되게끔 훈련

자주 출제되는 국어 표현 기법 + 바꾸어 출제되는 방식

표현기법
기본 개념
내신에서 바꾸어 쓰는 방식
예시 문장
반복
같은 말을 되풀이하여 강조
동일 어구 반복, 구조 반복, 음절 반복
“울었다, 또 울었다”
열거
비슷한 성격의 대상 나열
병렬, 나열, 나열적 구성
“산, 강, 바다, 들”
대조
상반된 이미지를 나란히 배치
대비
“밝음과 어둠 사이”
역설
모순 속 진리 표현
아이러니,, 반의적 진술
“죽어서야 비로소 살았다”
반어
겉과 속 뜻 반대
반대 표현, 반의적 말투
“정말 훌륭하시네요” (비꼼)
직유
‘~처럼’, ‘~같이’ 비교
“꽃처럼 웃는 얼굴”
은유
비교 어구 없이 직접 비유
“그는 사막이다”
상징
구체 → 추상 의미 대입
함축, 이중의미, 다의적 상징
“불” = 열정, 저항
점층법
점점 강하게 표현
단계적 강조, 세기 변화
“달렸다, 내달렸다, 날아갔다”
설의법
대답이 뻔한 질문
반문, 강조의 의문문, 자기반성
“내가 바보가 아니고 뭐란 말인가?”
대유법
전체 대신 일부분 지칭
부분 → 전체, 물건 → 사람
“백의의 천사” = 간호사
의인법
사물에 인간 특성 부여
인격화, 행동 부여, 감정 투영
“바람이 노래한다”
의성어/의태어
소리나 모양 묘사
감각적 표현, 생동감, 시각/청각 이미지
“쨍쨍”, “살금살금”
우회적 표현
직접 말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표현
완곡, 암시, 돌려 말함
“그는 이제 돌아오지 않는다” = 죽음 암시
우의적 표현
비유나 상징을 통해 교훈 전달
우화, 상징적 서사, 이중 의미
“양치기 소년 이야기” = 거짓말의 위험성
현재형 어미
생동감 드러냄
물방울은 햇살을 머금고 반짝이고 있다.

국어 내신 핵심 포인트 정리 (지문 분석 + 문법)

문학 지문(현대시 중심) 대비 포인트

1. 시어의 의미 판단

각 시어가 긍정적인가 / 부정적인가 구별 가능해야 함
예시) ‘바람’ → 생명력 or 불안감, 문맥 따라 다르게 작용

2. 화자의 정서 파악

전체 정서뿐 아니라 행별/구절별로 감정 변화가 있는지 확인
감정 변화는 주제 전환, 갈등 포인트와 연결됨

3. 시어의 구체적 의미 확인

‘무엇을 상징하는지, 어떤 정서를 담는지’ 정확히 해석
자주 출제되는 어휘는 다른 작품과 의미 비교 가능해야 함

4. 표현기법의 위치와 쓰임 확인

반복, 대조, 반어, 설의, 상징 등 표현기법이
각 행/구절마다 어떻게 배치되었는지 직접 표시하며 정리
표현기법의 효과까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함

5. 연계지문 예측 & 비교 감각 훈련

다른 작품과의 유사점(주제/정서/표현기법)을 연결하여
‘이런 시가 나왔을 때 어떤 지문과 묶여 나올까?’ 생각하며 대비

문법 대비 포인트

1. 핵심 개념 정리

큰 키워드(예: 첨가 → 자음첨가/모음첨가) 중심으로 분류
나머지 개념은 백지에 예시까지 스스로 쓸 수 있어야 함

2. 문제풀이 중심 학습 (예외적 양치기 허용)

문법은 문제를 많이 풀면서 예외/변칙 사례를 체화하는 것이 중요
틀린 문제는 반드시 개념별로 따로 정리해 반복 학습해야 함

3. 오답노트 운영

헷갈리는 개념/문제 유형을 한 곳에 모아두고
시험 전까지 최소 2~3회 반복 확인
모의고사/자습서/프린트에서 나온 어려운 보기 문장도 따로 정리

고전시가 대비 포인트

항목
세부 내용
시어 해석
모든 고어 단어 해석 암기 필수→ 해석을 완벽히 해야 선지 실수가 줄어듦
표현기법/구성 확인
반어, 설의 등 감정 표현 중심 기법이나 이원적 구성과 같은 시의 구성요소에 집중
화자 정서 변화
구절마다 임을 원망하는가 vs 자신을 탓하는가, 재회 의지가 있는가 vs 단념했는가 등의 정서 분석 필요
공간 이동
장소 변화에 따라 행동과 정서가 달라질 수 있음→ 지문 맥락 파악 중요

마무리 말

이 공부법의 가장 큰 장점은 내용을 그냥 ‘정리하는 것’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내가 직접 외우고, 이해하고, 말할 수 있을 때까지 반복한다는 것’이에요. 그래서 시험장에서도 지문만 보면 정서, 표현기법, 주제가 자동으로 떠올랐어요.
특히 제가 다닌 jh 연구소에서는 지문별로 필기 분석집이 정말 체계적으로 정리돼 있어서 단권화할 때 방향을 잡는 데 큰 도움이 됐고, 시험 직전에 받았던 실전문제 세트 또한 실제 내신과 거의 유사해서 마무리 복습에 도움이 되었어요.
여러분도 단권화를 단순 정리로 끝내지 말고 제 루틴처럼 외우면서 복기하고, 지문 위에 개념을 써가며 반복해보세요.
이건 1등급만을 위한 공부법이 아니라, 중하위권부터 누구나 따라올 수 있는 구조예요.
제 단권화 루틴, 그대로 따라오시면 10일 안의 성적 역전은 절대 불가능한 얘기가 아닙니다!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
궁금한 점은 언제든 [카카오채널 | JH국어연구소]로 문의주세요!
함께 끝까지 갑시다!
– 김종현국어 드림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카카오 채널 [JH국어연구소]**로 문의해 주세요!
[무료 정보 톡방] 종현쌤이 직접 관리하는 국어 최상급 자료&정보 공유 오픈톡방(선착순 마감)
참여코드 : jh0708
[김종현쌤 무료 자료 한 눈에 보기 & 종현쌤 수업 더 알아보기 ]
이 공부법의 가장 큰 장점은요, 내용을 그냥 ‘정리하는 것’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내가 직접 외우고, 이해하고, 말할 수 있을 때까지 반복한다는 것’이에요. 그래서 시험장에서도 지문만 보면 정서, 표현기법, 주제가 자동으로 떠올랐고요, 그게 실전에서 진짜 강했어요.
특히 제가 다닌 이 학원에서는 지문별로 필기 분석집이 정말 체계적으로 정리돼 있어서 단권화할 때 방향을 잡는 데 큰 도움이 됐고, 시험 직전에 받았던 실전문제 세트도 실제 내신과 거의 유사해서 마무리 복습용으로 완벽했어요.
무엇보다 ‘국어는 단권화 중심으로 복기하며 공부해야 한다’는 공부 방향 자체를 처음부터 제시해준 학원이었기 때문에, 지금의 이 공부 루틴이 가능했던 거라고 생각해요.
여러분도 단권화, 단순 정리로 끝내지 말고 제 루틴처럼 외우면서 복기하고, 지문 위에 개념을 써가며 반복해보세요.
이건 1등급만을 위한 공부법이 아니라, 하위권부터 누구나 따라올 수 있는 구조예요.
저도 4등급이던 친구랑 이 루틴을 똑같이 했고, 2주 만에 2등급까지 올랐어요. 정말로 가능해요.
제 단권화 루틴, 그대로 따라오시면 10일 안에 성적 반전, 절대 불가능한 얘기 아닙니다.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