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Duplicate
🏃

객관적 상관물과 감정 이입?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13구간

객관적 상관물과 감정 표현 방식,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13구간

김종현쌤의 수능국어 공부법 마라톤 - 13구간

안녕하세요. 수능국어 역전 전문가 김종현입니다.
고전시가나 현대시에 등장하는 **‘객관적 상관물’**은 화자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하지만 학생들이 이를 단순히 ‘시적 대상’ 정도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객관적 상관물은 화자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대상을 통해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것이 핵심입니다.
오늘은 객관적 상관물의 사전적 개념부터 감정 표현 방식인 감정이입, 감정투영, 감정의탁까지 정리하여, 작품 분석에 활용하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객관적 상관물이란?

사전적 정의

객관적 상관물이란, 창작자가 표현하려는 자신의 정서나 감정, 사상 등을 다른 사물이나 상황에 빗대어 표현할 때 이를 표현하는 사물이나 사건을 말합니다. 이는 T.S. 엘리엇에 의해 크게 발전된 이론으로, 개인적 감정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기보다 사물과 사건을 통해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창작 기법입니다. (ko.wikipedia.org)
화자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가져온 모든 대상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대상에 감정을 이입하여 드러냄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며, 시의 분위기와 의미를 더욱 깊이 있게 만듦

객관적 상관물의 3가지 유형

유사자연물 (감정이 그대로 이입되는 대상)]

정리:
정의: 화자의 감정이 대상에 그대로 이입됨
개념: 의인법을 활용하여, 자연물이 화자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반영
핵심: 화자의 기쁨은 기쁨으로, 슬픔은 슬픔으로 투영됨
예시:
저 물도 내 마음 같아 울며 밤길 흐른다. (왕방연의 시조)
새는 봄기운을 못 이겨 소리마다 교태로다. (정극인, 상춘곡)
설명:
‘물’ = 화자의 슬픔이 그대로 이입됨 → 슬픈 감정을 더욱 부각
‘새’ = 화자의 기쁨이 그대로 이입됨 → 기쁜 감정을 더욱 강조
결론: 유사자연물은 화자의 감정과 동일한 감정을 반영하는 대상!

상반자연물 (감정과 상반되는 대상)

정리:
정의: 화자의 감정과 대상의 감정이 반대되는 관계
개념: 자연물이 화자의 감정과 대조를 이루면서 감정을 더욱 강조
핵심: 내가 슬플 때 자연은 행복해 보이고, 내가 기쁠 때 자연은 슬퍼 보이는 효과
예시:
훨훨 나는 저 꾀꼬리 암수서로 정답구나, 외로울사 이 내 몸은 뉘와 함께 돌아갈꼬. (유리왕, 황조가)
설명:
‘꾀꼬리’ = 정다움(행복) → ‘나’ = 외로움(슬픔)
화자의 외로운 감정이 꾀꼬리의 정다움과 대비되면서 더욱 극대화됨
결론: 상반자연물은 화자의 감정과 정반대되는 감정을 가진 자연물을 활용하여 감정을 더욱 선명하게 부각시키는 장치!

심화자연물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지만 분위기를 조성하는 대상)

정리:
정의: 화자의 감정을 직접 이입하지 않지만, 감정을 암시하거나 심화하는 대상
개념: 배경, 소재 등이 화자의 감정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
핵심: 감정이 직접 드러나지 않지만, 분위기와 맥락을 통해 감정을 강조하는 역할
예시:
사공은 어디가고 빈 배만 걸렸는고. (정철, 속미인곡)
반벽청등은 누굴 위해 밝았는가. (정철, 속미인곡)
설명:
‘빈 배’ = 화자의 허전함과 쓸쓸함을 암시
‘반벽청등’ = 외로운 분위기를 강조
결론: 심화자연물은 화자의 감정이 직접적으로 투영되지 않지만, 분위기를 조성하여 감정을 더욱 깊게 만드는 대상!

객관적 상관물과 감정이입의 차이점

감정 표현 방식의 개념 정리
구분
정의
특징
감정이입
화자의 감정이 대상에 직접 이입됨
대상이 화자와 동일한 감정을 지님
감정투영 (이입보다 큰 개념)
화자의 감정이 대상에 반영됨
대상이 의인화되지 않을 수도 있음
감정의탁(투영과 유사하다고 보면 됨)
화자의 감정을 대상에 의탁하여 간접적으로 표현
대상이 감정을 담는 그릇 역할

정리하면!

객관적 상관물은 화자의 감정을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중요한 장치이다.
유사자연물, 상반자연물, 심화자연물의 개념을 구분하여 작품을 분석해야 한다.
감정 표현 방식에는 감정이입, 감정투영, 감정의탁이 있으며, 각각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이 다르다.
이를 이해하면 문학 작품에서 화자의 정서를 보다 정교하게 분석할 수 있다.

마무리하며…

객관적 상관물은 단순한 배경 묘사가 아니다!
시에서 감정을 직접 드러내지 않고, 대상에 감정을 이입하는 방식
감정과 같은 정서를 투영할 수도 있고, 반대 정서를 활용할 수도 있음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지만, 분위기를 심화시키는 역할도 가능
객관적 상관물을 빠르게 파악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시에서 등장하는 자연물, 배경, 사물을 볼 때 단순한 묘사가 아니라, 화자의 감정과 연결 지어 분석하는 습관이 중요
다음 마라톤 구간도 기대해주세요!
더 많은 자료를 원하신다면 아래에서 필요하신 것만 골라서 다운로드 받으셔요 - !
[무료 정보 톡방] 종현쌤이 직접 관리하는 국어 최상급 자료&정보 공유 오픈톡방(선착순 마감)
참여코드 : jh0708
[김종현쌤 무료 자료 한 눈에 보기 & 종현쌤 수업 더 알아보기]
[종현쌤에게 1:1 문의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