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 너무 어렵고 푸는 데 오래 걸려요…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
김종현쌤의 수능국어 공부법 마라톤 - 10구간
수능 국어에서 고전소설은 자주 등장하는 중요한 영역입니다.
올해로 현장에서 학생들을 10년째 가르쳐보니, 고전소설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의 공통점은
하지만! 고전소설은 패턴만 알면 오히려 수월하게 풀 수 있는 효자 지문입니다.
오늘은 고전소설을 빠르고 정확하게 이해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고전소설, 이렇게 공부하세요!
무작정 읽으며 다 기억하기? NO! → ‘장면 단위 독해’를 하세요! 
고전소설을 무작정 처음부터 끝까지 읽으며 모든 내용을 기억하려고 하면 금방 지칩니다.
•
고전소설은 대부분 ‘시련(흥미) → 극복(교훈)’ 구조입니다.
•
이 구조를 기준으로 이야기의 흐름을 나눠보세요.
◦
예) 시련(주인공이 위기에 빠짐) → 조력자 등장 → 극복과 성공 → 교훈 전달
•
선지를 읽고 헷갈린다면, 해당 사건이 나온 장면으로 빠르게 돌아가 재확인하세요.
•
장면 단위로 기억하면 지문 탐색 속도가 빨라집니다!
인물 관계도 그려보기 
고전소설은 복잡한 인물 관계가 많습니다.
표현 방식의 특징을 파악하라! 
고전소설은 인물의 **발화(대사)**가 길고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발화에서 주장과 근거를 구분하세요.
◦
근거는 길고 구체적이며, 주장은 짧고 핵심적입니다.
•
주장을 빠르게 뽑아내는 능력이 곧 독해 속도를 높이는 핵심입니다.
시대? NO! → ‘장르별 클리셰(뻔함)를 이해하라!’ 
고전소설을 어렵게 느끼는 이유 중 하나가 시대적 배경에 집착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사실, 고전소설은 장르별로 뻔한 클리셰가 존재합니다!
•
남장 모티프: 여주인공이 남자로 변장하는 이야기
•
신물(神物) 모티프: 신비한 물건이 등장해 사건 해결을 돕는 경우
•
조력자 모티프: 주인공을 돕는 조력자 캐릭터의 등장
•
혼사 장애 모티프: 결혼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등장 (결국 극복!)
•
인과응보 모티프: 선은 상 받고, 악은 벌 받는 ‘권선징악’ 이야기
장르별 특징 & 대표 작품 정리
어휘와 표현 익히기 
고전소설의 어려운 어휘는 이해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패턴 학습으로 유형 익히기 
수능 고전소설 문제는 일정한 출제 패턴이 있습니다.
오답 노트 활용하기 
고전소설 문제를 풀고 틀렸다면 반드시 오답 노트를 활용하세요.
반복 학습으로 체화하기 
고전소설은 반복 학습이 중요합니다.
정리하자면!
고전소설 공부의 핵심은
**‘장면 단위 독해 → 인물 관계 분석 → 장르별 클리셰 이해 → 주장과 근거 구분 → 오답 정리 및 반복 학습’**입니다.
이 과정을 꾸준히 반복하면, 고전소설이 더 이상 어렵지 않고 패턴화된 문제로 보일 것입니다.
더 많은 자료를 원하신다면 아래에서 필요하신 것만 골라서 다운로드 받으셔요 - !
참여코드 : jh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