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 직전, 실제 시험에 가장 자주 나오는 문학 개념어에 대해 막연한 공포와 불안감을 느끼시는 분들, 이번 기회에 완벽히 정리하시기를 바랍니다.^^
시험 전에 꼭 한번 훑어보고 들어가시기를 바랍니다.
표현법 총 목차 구성
CHAPTER1 : [ 시 ]표현법 최종 압축본 - JH국어연구소 김종현국어 
1. 강조법 
•
반복: 같거나 비슷한 어구를 반복하여 효과적으로 표현.
◦
음운의 반복: 특정 소리 반복.
예: "얄리얄리 얄랑셩" (‘ㅇ’과 ‘ㄹ’ 반복).
◦
시어의 반복: 동일 단어 반복.
예:
"기침을 하자.
젊은 시인이여, 기침을 하자.
눈 위에 대고 기침을 하자." (기침의 반복)
◦
시구의 반복: 동일 구절 반복.
예: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
어미의 반복: 동일 어미 반복.
예: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
통사 구조의 반복: 문장 구조 반복.
예: "아침에는 나물 캐고, 저녁에는 낚시하세."
•
대비: 상반된 이미지를 나란히 배치해 강조.
◦
예: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
점층
: 의미를 점점 강하게 키워 절정으로 나아감.
◦
예: 창모의 SELFMADE ORANGE
"알다시피 내 출신은 리 → 그걸 멀리 보면 읍 → 그걸 멀리 보면 시 → 그걸 멀리 보면 도 → 그걸 멀리 보면 나라 → 거를 멀리 보면 원."
•
점강
: 크고 강한 것에서 점점 작아지며 약해짐.
◦
예: "산이 들썩 → 바람이 멈춤 → 풀잎 하나가 흔들림."
2. 변화법 
•
설의
: 답을 아는 사실을 의문 형태로 표현.
◦
예: "첫술에 배부르랴?"
•
영탄
: 감탄사로 강한 정서 표현.
◦
예: "어찌 아름답지 아니한가!"
•
도치
: 문장 순서를 바꿔 주제를 강조.
◦
예: "사랑해, 너를."
•
연쇄
: 앞 구절의 끝 어구를 다음 구절의 앞에 연결.
◦
예: "원숭이 엉덩이는 빨개, 빨가면 사과."
•
반어
: 의도와 반대되는 표현으로 의미 강화. [ 말과 마음의 충돌 ]
◦
예: "(늦게 온 친구에게) 참 빨리도 온다~."
•
역설
: 겉보기엔 모순되지만 진리를 담음. [ 말과 말의 충돌 ]
◦
예: "지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
[←클릭] 역설 VS 반어 기출 예상 선지 모음 [ 좌측 화살표(토글)클릭 ]
•
병치
: 두 대상을 나란히 놓아 의미를 부각.
◦
예: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
•
시적 허용
: 문법을 벗어나 시적 효과 강조.
◦
예: "파아란 하늘 (파아란은 문법에 맞지 않은 표현)."
•
행간 걸침
: 한 행의 의미를 다음 행에 걸쳐 표현.
◦
예: "말을 할까 / 하니 그리워." (하니를 뒤로 배치)
•
대구
: 짝을 이룬 문장이 나란히 배치.
◦
예: "아침에는 나물 캐고, 저녁에는 낚시하세."
•
생략
: 일부 생략으로 여운과 함축적 효과.
◦
예: "이 넓은 하늘에 나 혼자 어찌..."
3. 비유와 상징 
•
비유
◦
직유: "같이", "처럼"으로 직접 비유.
예: "그녀는 장미같이 예쁘다."
◦
은유: "A는 B다"로 간접 비유.
예: "그녀는 장미다."
◦
의인: 무생물을 사람처럼 표현.
예: "장미가 고뇌에 빠졌다."
◦
활유: 무생물에 생명력을 부여.
예: "달빛이 춤춘다."
◦
대유: 일부로 전체를 나타냄.
예: "한라산에서 백두산까지."
◦
풍유: 속담 등으로 우회적 표현.
예: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
•
상징
◦
원형적 상징: 시대와 장소를 초월하는 상징.
예: "하늘(절대자), 불(소멸과 재탄생)."
◦
관습적 상징: 사회적으로 굳어진 상징.
예: "비둘기(평화), 십자가(기독교)."
◦
개인적 상징: 작가 고유의 상징.
예: "바나나 주스는 어머니의 사랑이다."
4. 시상 전개 방식 
•
수미상관
: 시의 처음과 끝이 책의 첫 표지와 끝 표지처럼 통일성 있게 유사함.
◦
예: 김소월의 엄마야 누나야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처음)
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 빛,
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끝)
•
선경후정
: 외적 풍경을 묘사한 뒤 정서를 표현.
◦
예: "빨간 꽃이 핀다(선경). 내 마음이 설렌다(후정)."
•
점층적 전개
: 의미나 정서가 점차 심화됨.
◦
예: "작은 불씨 → 커다란 불길 → 모든 것을 태우는 화염."
•
기승전결
: 4단 구성으로 전개.
◦
예: "시작 → 심화 → 전환 → 마무리."
•
시간적 전개 
◦
순행적: 과거 → 현재 → 미래.
◦
역순행적: 현재 → 과거 회상.
•
공간적 전개 
◦
화자의 이동이나 시선의 흐름에 따라.
예: "시냇가에 앉아 있다 → 산으로 간다."
•
대립적 전개
: 상반된 이미지를 나란히 배치.
◦
예: "밝음과 어둠, 희망과 절망."
5. 화자와 어조 

•
화자: 시 속에서 시인을 대신하여 말하는 인물 (시적 자아)
◦
표면적 화자: '나', '우리' 등을 통해 자신을 드러냄
▪
예: 정일근, 어머니의 그륵 中 [ 2012 9월 평가원 모의고사 4번 선지 ]
•
나는 학교에서 그릇이라 배웠지만~
•
어조: 화자의 말투와 정서가 드러나는 표현 방식
◦
예: 이육사 '광야' – 강한 의지의 단호한 어조
6. 시적 상황 
•
화자 혹은 대상이 처해있는 객관적인 사실, 상태
◦
예 : 일제강점기 / 대상의 부재 / 관찰(묘사) / 투병 등 말 그대로 객관적 사실
7. 정서와 태도 

•
상황속에서 대상이 드러내는 반응
◦
긍정적 반응 : 희망 / 지향 / 낙관 / 달관 / 초극 / 깨달음/ 성찰 / 연민 / 해학 / 관조 등
◦
부정적 반응 : 좌절 / 체념 / 비관 / 냉소 / 조소 / 자조 / 풍자 / 염세 등
8. 이미지 
•
감각 이미지: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 공감각 등
◦
오감 : 시각(눈) / 청각(귀) / 후각(코) / 촉각(피부) / 미각(입)의 이미지
◦
공감각 : 한 감각이 다른 감각으로 전이되는 이미지 [ 아래 파일 다운로드 ]
•
상징 이미지: 생성, 소멸, 상승, 하강, 역동, 어둠과 추위 등
◦
예: 윤동주 '별 헤는 밤' – '별'은 이상과 희망을 상징
9. 표현
•
◦
개념 : 시인의 감정이나 사상을 직접 말하지 않고, 어떤 사물을 통해 간접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되는 대상입니다.
◦
종류
▪
유사 자연물 : 화자의 감정이 이입됨
•
예시 - 슬피 우는 저 새여
▪
상반 자연물 : 화자와 반대되는 감정이 이입됨
•
예시 - 훨훨 나는 저 꾀꼬리 암수 서로 정답구나 vs 외로운 이 내 몸은 뉘와 함께 돌아갈꼬
▪
암시 자연물 : 감정이 이입된 것은 아니지만 은근히 화자의 감정을 드러냄
•
예시 - 사공은 어대 가고 븬 배만 걸렸는고
•
◦
개념 : 화자의 감정을 촉발하거나 고조시키는 사물입니다.
◦
예시1: 윤동주의 “자화상” → “우물”
◦
예시2 : 윤동주의 “쉽게 씌여진 시” → “밤비”
•
시인이 어떤 생각이나 감정을 말하고 싶을 때, 직접 표현하지 않고 다른 사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
→ 예: ‘구름’을 통해 막막한 미래를 표현
•
길게 설명하지 않고, 짧은 말 안에 의미를 응축하여 담는 표현 방식입니다.
→ 예: “서럽다” 한 마디에 모든 감정을 담는 표현
•
하나의 말이 여러 가지 의미를 동시에 품고 있는 시어의 특성입니다.
→ 예: ‘꽃’ = 아름다움, 순수, 이별, 추억 등
•
◦
개념 : 소리나 움직임을 의성어나 의태어로 표현하여, 시의 감각적 이미지를 풍부하게 만드는 요소입니다.
◦
효과 : 사실감, 생동감, 현장감이 드러납니다.
→ 예: "주르륵", "살랑살랑"
•
◦
개념 : 색깔을 나타내는 단어
◦
예시 : ‘검은’ / ‘붉은’ / ‘푸른’ / ‘빨강’
◦
주의
▪
vs 색채 이미지의 시어[ 읽었을 때 색이 떠오르는 단어-ex) 노을, 눈 ]
▪
색채 대비 [ 꼭 반대(보색) 관계가 아니라도 색이 두개만 나오면 성립, 흰색vs파란색도 색채 대비임 ]
•
◦
개념 : 시어를 통해 감정이나 장면을 떠올리게 만드는 표현 방식입니다.
◦
예시 : “첫눈”이라는 단어만으로 겨울, 설렘, 옛 기억을 불러일으킬 때 쓰이는 말
◦
주의 : 떠올리게 하다 라는 뜻임, 없애다라는 뜻이 아님에 유의할 것.
CHAPTER2 :[ 소설 ]표현법 최종 압축본 - JH국어연구소 김종현국어 
1. 인물
•
예) <흥부전>의 흥부 – 한결같이 선한 인물
•
예) <운수 좋은 날>의 김 첨지 – 아내의 죽음 이후 변화
•
예) <허생전>의 허생 – 이상주의 지식인
•
예) <광장>의 이명준 – 현실과 이상 사이의 고뇌
•
예) <춘향전>의 성춘향
•
예) <춘향전>의 방자
2. 갈등과 배경
•
예) <날개>의 ‘나’
•
◦
◦
◦
◦
•
•
예) <메밀꽃 필 무렵> – 여름밤 봉평장
•
예) <광장> – 분단 이념 갈등
3. 구성 방식
•
•
•
•
•
•
◦
순행: <흥부전> [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전개 ]
◦
역순행: <광장> [ 시간의 흐름에 반대되는 전개, 과거 회상 ]
•
◦
◦
◦
◦
◦
4. 서술과 시점
•
◦
서술자 작품 안에 위치 / 주관적인 서술
•
◦
서술자 작품 밖 / 전지(모든 것을 다 알고 있음)
•
•
◦
직접 제시: 성격을 직접적으로 설명함
▪
예시 : 그는 지금 “화가 났다”
◦
간접 제시: 행동·대사를 통해 인물의 성격을 간접적으로 드러냄
▪
예시 : 그는 “두 주먹을 꽉 쥔 채 말이 없었다.”
5. 문체
•
◦
간결체 [ 마침표가 많고 길이가 짧은 문장 ] vs 만연체 [ 쉼표가 많고 길이가 긴 문장 ]
◦
의식의 흐름 기법 → 인물의 내면심리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며 서사보다는 인물의 불규칙한 의식(심리)의 흐름에 초점을 맞춤. - 예시)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현재형 어미 사용 → 사실감, 생동감, 현장감의 부여
◦
확장적 문체 - 특정 장면을 극대화하여 길게 서술 [ 과장 / 반복 / 나열 / 희화화 등의 요소를 사용하여 특정 장면을 강조 - 고전소설의 하이라이트 장면에서 많이 나옴. ]
6. 인물의 말하기 방식
•
•
•
•
•
•
8. 고전 산문·희곡
< 고전 산문 개념어 >
•
•
•
•
•
•
•
•
< 희곡 개념어 >
•
•
•
•
•
•
•
•
더 많은 자료를 원하신다면 아래에서 필요하신 것만 골라서 다운로드 받으셔요 - !
참여코드 : jh0708